✈️ 덴마크 인생학교 한달살기: 2025년 가을학기 모집 🧳
자유스콜레의 모토 : 쉼과 전환을 위한 안전한 실험실 만들기
자유스콜레에는 세 개의 의자가 있습니다.
자기 질문, 자각을 위한 ‘홀로앉음의 자리’ 🪑
살아있는 대화, 관계를 위한 ‘마주앉음의 자리’ 🪑🪑
다름의 존중, 전환의 힘, 다양성을 위한 ‘둘러앉음의 자리’ 🪑🪑🪑
오늘날 현대사회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 빠르게 변화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단절과 고독이라는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원자화된 개인주의의 확산은 사람들 사이의 직접적인 소통을 줄이고, 공동체 의식의 약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건강한 개인과 사회적 관계, 공동체의 의미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행복국가로 꼽히는 덴마크의 행복 비결이 궁금했던 이들이 덴마크의 인생학교를 경험하고 그 경험을 한국에서 실천하기 위해서 '쉼과 전환을 위한 안전한 실험실'을 모토로 한 자유스콜레(www.jayuskole.net)활동을 시작했다.
자유스콜레의 철학과 목표
자유스콜레는 전통적인 학교와는 달리 고정된 커리큘럼 없이 참여자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서로 관계안에서 스스로 발견하는 과정을 중요시한다.
이곳에서는 배움의 과정 그 자체가 목적이자 도전이며, 결과보다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경험과 성찰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자유스콜레의 핵심 철학 중 하나는 ‘안전한 실험실’이다.
이는 모든 사람이 응원과 지지 속에서 새로운 전환의 실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는 의미다.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끊임없는 경쟁과 성과 중심의 사고방식에 억눌려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하지만 자유스콜레는 이러한 억압된 틀을 벗어나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도록 독려하며, 이를 통해 개인들이 공동체 내에서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쉼과 전환의 공간
자유스콜레는 쉼과 전환을 위한 장소로 기능한다. 자유스콜레가 이야기하는 쉼은 삶을 관조할 수 있고, 전환을 준비할 수 있는 적극적인 쉼이다. 잠시 멈추고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단순한 휴식이 아니라, 자기 성찰과 타인과의 깊은 소통을 통한 전환의 시간을 의미한다. 사람들은 자유스콜레에서 일상에서 벗어나 다양한 인문적, 공동체적 활동을 통해 새로운 관점과 생각을 얻고, 그것을 통해 삶의 전환점을 찾을 수 있다.
공동체의 형성과 지속가능성
자유스콜레는 특정한 인물이나 전문가의 일방적인 지도로 운영되지 않는다. 오히려 참여자들 스스로가 서로에게 가르치고 배우는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체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적인 구조는 구성원 모두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만들며, 그 과정에서 형성된 신뢰와 유대감은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만드는 기반이 된다.
자유스콜레는 다양한 관점과 경험을 수용하는 열린 공간이다. 이는 서로 다른 배경과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모여 다양한 대화를 나누는 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다채로운 공동체가 형성된다. 자유스콜레는 이러한 다원성을 바탕으로 공동체가 지속 가능하게 성장할 수 있다고 믿는다.
자유스콜레의 비형식 교육
자유스콜레는 형식교육, 비형식교육, 무형식 교육의 형태에서 비형식 교육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정해진 커리큘럼이나 교수방법을 따르기 보다는 참가자들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프로그램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로 하고 있고,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안내자의 역할도 자유스콜레가 구성하는 작은 공동체의 같은 일원으로 참가자와 안내자의 특별한 구분없이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중심에는 ‘대화'가 있다.
왜 대화인가?
‘쉼과 전환을 위한 안전한 실험실’ 만들기를 목표로 2017년 첫발을 뗀 자유스콜레(당시 활동명 자유학교)는 인생학교·시민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살아있는 말’(living word)로 나누는 ‘대화'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전환의 힘을 얻으려면 스스로의 자각도 필요하지만 나를 비춰 줄 거울, 즉 타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이 보내는 응원과 지지에 힘입어 전환이라는 어려운 작업에 도전하기도 한다. 그런 전환의 힘을 얻을 기회가 바로 ‘대화'다.
대화는 나를 알아차리고, 서로를 만나고, 사회를 이해할 기회다. 대화 속에서 평소 자각하지 못한 자기를 발견할 수도 있다. 타인의 생각과 경험에서 영감을 얻기도 한다. 그리고 우리 모두가 공감하는 문제가 있다면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목소리를 모을 수 있는 기회 역시도 대화를 통해서 만들 수 있다.
하지만 공간을 조성하고 사람을 모아놓고 호기심이 담긴 질문을 던진다고 해서 의미있는 대화가 곧바로 싹트지는 않는다. 대화에 필요한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일부터 대화에 필요한 문화를 함께 만들고 또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좋은 질문을 건넬 때야 비로소 가능한 일이다.
질문 --> 대화 --> 전환
대화의식탁
대화의만찬
민주주의 피트니스
덴마크 인생학교 한달살기
활동 연혁
2025년(예정)
8~9월: 덴마크 인생학교 한 달 살기: 5기 운영
4~5월: 덴마크 인생학교 한 달 살기: 4기 운영
3~6월: (재)플라톤 아카데미 의뢰로 대화의식탁 3회차 운영
2월: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대화의식탁 운영
2024년
12월: 민주시민교육 교사 모임 의뢰로 민주주의 피트니스 운영
11월: 일본 지역미래유학 네트워크 의뢰로 한일 로컬 청년 교육자 교류 트립 기획∙운영
10월: (재)한국정신문화재단 의뢰로 21세기 인문가치포럼 내 청년인문캠프 기획∙운영
10월: 마포청년나루와 민주주의 피트니스∙대화의식탁 1회차 운영
9월: 춘천사회혁신센터와 민주주의 피트니스 및 대화의식탁 2회차 운영
8~9월: (재)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과 민주주의 피트니스 4회차 운영
7~9월: 경기도마을자치지원센터 의뢰로 대화의식탁 2회차 운영
6월: (재)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과 대화의식탁 운영
6월: 경기도마을자치지원센터 의뢰로 2024 경기마을주간서 민주주의 피트니스∙대화의만찬 운영
6월: 노원청년일삶센터 의뢰로 대화의식탁 운영
6~12월: 대화와 상호작용 중심의 민주시민 교육 개발・운영
4월: 금융산업공익재단 x 다음세대재단 주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 비영리스타트업 인큐베이팅 사업' 선정
5월: (재)플라톤 아카데미 의뢰로 울산 지관서가 2개소에서 대화의식탁 2회차 운영
4~5월: 덴마크 인생학교 한 달 살기: 3기 운영
2023년
10~12월: (재)플라톤 아카데미와 울산 지관서가 3개소에서 대화의식탁 3회차 운영
8~9월 : 덴마크 인생학교 한 달 살기: 2기 운영
6월 : 자유학교 5기 프로그램 운영
4~5월 : 덴마크 인생학교 한 달 살 기: 1기 운영
2022년
12월 : 자유학교 4기 프로그램 운영
7월 ~11월 : 춘천시민학교 쉼표학교(6기~13기) 협력 운영
11월 : 춘천시민학교와 덴마크 보세이 스포츠 폴케호이스콜레 교류 행사
10월 : 자유학교 @ 별을 노래하는 숲속마당
9월 : 2022년 춘천시민학교 포럼 참여
5월 : 『나의 덴마크 선생님』 온라인 북토크
2021년
12월 : 자유학교 커먼룸 굿바이 2021
12월 : 덴마크 행복교육과 춘천시민학교 온라인 토크콘서트
5월 ~ 10월 : 춘천시민학교 쉼표학교(2기~5기) 협력 운영
2월 : '춘천 시민학교 : 다시 세우기’ with 자유학교
2020년
12월 :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 소개 자료 번역 공유
11월 : 춘천시민학교 사전 워크숍
8월 : 폴케호이스콜레로부터의 10개의 레슨 번역
6월 : 위즈덤코리아 - 덴마크 인생학교 이야기
4월 : 덴마크 자유학교 한 달 살기 (코로나로 인해 취소)
2월 : 지(기이)유 학교 4기
2019년
12~1월 자(기이)유학교 3기 프로그램
11월 : 행복한 시민을 기르는 덴마크 행복 교육 이야기
11월 : J-Connect Day 2019 토크콘서트
10월 : 춘천시민학교포럼
10월 : 지리산포럼2019 - 작은변화의 씨앗을 나누는 숲
9월 ~ 11월 : 서울시 50플러스 중부캠퍼스 에서 진행하는 자(기이)유 학교
9월 : 한일 청년 교류 프로젝트 TTT : Time to talk 2019 - Korea and Japan
7월 : 고양시 평생학습 5개년 계획을 위한 시민참여워크숍
7월 : 덴마크 북클럽
6월 : 자유학교 LETS 프로그램 운영
4월 ~ 6월 : 서울시50플러스 중부캠퍼스 자기이유학교 운영
5월 :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 세미나 2019
3월 : 자유학교 청춘 프로그램 운영
2018년
12~1월 자유학교 2기 프로그램 운영
11월 : 토요시식회 아홉 번째 식사모임 <휴식처> with 자유학교
11월 : 자유학교 홈페이지 구축(https://www.jayuskole.net)
10월 ~ 11월 : 조르바의 춤 (개별 강좌형 자유학교 프로그램)
10월 : 덴마크-한국 행복교육박람회 프로그램 참여
10월 : 서울시50플러스 중부캠퍼스 자기이유학교 - 나의 가치찾기 프로그램 운영
9월 ~10월 : 그룬트비를 통해 만나는 덴마크의 '삶을 위한 교육’
9월 ~ 11월 : 마을실천대학 전문교육 리더쉽교육 기획 자문
8월 : 커뮤니티하우스 '마실' 얼리버드 선정
(커뮤니티 하우스 마실 공간 활용 프로그램 선정)
6월 : 덴마크 자유학교를 만나다.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 졸업생과 함께 하는 네트워킹 프로그램)
6월 : 자유학교, 덴마크 자유학교를 만나다.
( 덴마크 Bosei 폴케호이스콜레 교사와의 만남)
6월 : 덴마크 크로게럽 폴케호이스콜레 Garba Diallo 선생님과의 만남
5월 : 자유학교 커먼룸 데이 (커뮤니티 빌딩 프로그램)
2017년
12~1월 자유학교 1기 프로그램 운영(11박12일 28명 참가)
11월 : 자유학교 페이스북 페이지 개설